딥시크 뜻, DeepSeek 안전할까?
- 작성일25-02-21 20:25
- 조회2
- 작성자Gemma
중국 deepseek AI 딥시크 deepseek 갑자기 등장! 엔비디아 주가 하락?아침부터 비트코인 시장이 출렁이더니 하락장에서 벗어나질 못하고 있다. 이렇게까지 떨어질 일이 없는데? 조정기인가 하고 들여다봐도 미국은 오늘 주말이라 딱히 악재라고 띄워질만한 뉴스도 없다.그러다... 유료 구독중인 한 플랫폼에서 공지가 올라온 것을 보고 '아, 이거 때문에 하락장을 맞이했나?'싶은 의심이 들기 시작했다.(알고 보니, 선물지수 하락으로 같이 떡락중...)지금 데이마켓에서 하락 비가 내리고 있는데 이 하락 비의 주범은 바로 deepseek 중국발 딥시크이다.과연 단기악재가 될지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될지 지켜봐야겠지만, 딥시크에 타격을 입은 엔비디아가 주가 하락으로 흘러가고 있는 상황이다. 1월 25일 장 마감후 엔비이다 주가는 3.12% 하락한 142.62달러에 마감되었다.현재 데이마켓에서는 -7달러정도가 빠진 134.90선에서 거래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럼 대체 딥시크가 뭐길래 이렇게 엔비디아를 흔들고, 미국 데이마켓 시장 뿐 아니라 코인시장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일까?딥시크가 챗 지피티를 능가한다고?딥시크는 2023년 설립된 중국 항저우 기반의 스타트업으로, deepseek 지난달에는 메타의 최신 모델인 '라마(Llama) 3.1'과 비교해도 뒤지지 않는 성능의 거대언어모델(LLM) 'V3'를 공개한 바 있다.이번에 공개한 모델은 인공지능인 R1이라는 건데, 이게 "일부 성능 테스트에서 오픈AI의 추론 AI 모델 'o1'보다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것이다.추론형 AI 모델 'R1'이 이번 미국 수학경시대회(AIME 2024) 문제를 푸는 테스트에서 79.8%의 정확도를 기록하여, 오픈AI의 'o1'(79.2%)보다 뛰어난 결과를 기록한 것이다.여기까지는 뭐 그래, 그럴 수 있지... AI가 넘쳐나는 세상인데 deepseek 뭐.. 라고 여길 수 있다.하지만 중요한 포인트는 이 모델을 개발하는 데 들어간 비용이 약 2천만달러정도라는 것이다.물론 여기에 인건비를 더하면 예상 프로젝트 비용이 오르겠지만 그래도 중요한 원가가 얼마 들지 않았음에도 실적을 냈다는 것에 전세계가 멘붕 상태가 된것이다. 미국의 대중국 수출 제재로 인해 고성능 GPU 칩인 H100의 수급이 어려운 상황이라 저사양 반도체인 엔비디아의 H800 칩 2,048개를 활용하여 두 달 만에 R1을 개발했다고 전해진다. deepseek (중국이라 일단 의심부터...)H800 칩 한 개의 비용은 약 1만 달러(약 1,200만 원)정도이다.(이게 렌탈인지 구매인지 확실하지 않음)실리콘밸리는 메타가 인공지능 기술을구축하는데 쓴 비용의 약 10분의 1수준이라는것에 다들 충격에 빠져 있는 상황이다. 딥시크가 100만 개의 토큰(텍스트 단위)을 처리하는 데 드는 비용을 나타낸 그래프이다.캐시 히트(Cache Hit), 캐시 미스(Cache Miss), 출력 데이터를 처리하는 비용이 압도적으로 낮은 처리비용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AI업계에서난 엇갈린 의견이 나오고 있다.엔비디아의 deepseek 수석연구 매니저인 Jim Fan은 이와 관련해 다음과 같은 코멘트를 남겼는데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AI의 미래는 특정 기관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민주화되어야 하며, 모든 사용자가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DeepSeek는 효율적인 자원 활용과 비용 절감을 통해 경쟁사들을 앞서며 AI 기술의 민주화 가능성을 입증하고 있다.AI 개발은 스케일링을 통한 자원 극대화와 단순한 접근법으로 더 많은 사용자에게 개방되어야 한다결론 : 딥시크 너희들이 잘 만들어줘서 우리가 갖고 deepseek 있는 자원을 통해 앞으로 더 10배 더 빠른 강력한 AI를 만들수 있게 되었다.한 메타 직원은 딥시크의 성과에 대해 언급하며, 메타의 생성형 AI 조직이 패닉 상태에 빠졌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게 단기적인 악재가 될 수도 있고, 좀 더 길게 타격을 입힐수도 있다.(어디 가니 비트야...)중국발 특유의 bluffing이 좀 섞여 있다는 것이 악재가 완전한 악재가 아닌 것 같긴 하다.중국이 발표한 과학기술 프로젝트 중 과장되거나 문제가 deepseek 드러난 경우가 워낙 많았기에...뇌 읽기"AI, 3초 배터리, 양자 위성 묵자호(Micius), 광속 통신, 홍신반도체(HSMC), 토카막 원자로, 한신(Hanxin)"마이크로칩 스캔들 등등....정확한 비용 공개없이 우리 칩 이만큼 사용해서 성과를 냈어라는 것인데, 칩보다 인건비가 더 들수도 있는거고, 좀 더 상황을 지켜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오늘 제대로된 하락 불장을 보여주고 있는 미국 데이마켓와 코인시장.부디 단기적인 악재이길 바란다. (챗 지피티보다 낫다니까 한번 써보고 다시 평가 남기겠습니다.)
등록된 댓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